논문 및 학회지

대한생식의학회지   제37권 제2호 2010년

자궁강내인공수정시 황체기 보강으로서 경구 미분화 프로게스테론과 디드로게스테론의 비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2

장은정1, 지병철1,2*, 김상돈1, 이정렬1, 서창석1,2,

Comparison of Oral Micronized Progesterone and Dydrogesterone as a Luteal Support in Intrauterine Insemination Cycle

Eun Jeong Jang1, Byung Chul Jee1,2*, Sang Don Kim1, Jung Ryeol Lee1, Chang Suk Suh1,2

1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ngnam, 2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목  적: 과배란유도 후 자궁강내 인공수정 시술시 황체기 보강으로서 경구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투여법과 경구 디드로게스테론 투여법의 임상적 효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시행된 과배란유도 후 자궁강내 인공수정 시술 183주기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과배란유도는 성선자극호르몬 단독 또는 클로미펜과 성선자극호르몬의 병합요법을 사용하였다. 136주기에서는 황체기 보강으로서 경구 미분화 프로게스테론을 하루 300 mg으로 투여하였고 47주기에서는 디드로게스테론을 일일 20 mg으로 투여하였다. 결  과: 여성의 연령, 불임 인자, 성숙난포수 (≥16 mm), 총운동성정자수, triggering 날의 자궁내막 두께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궁내 태낭이 확인되는 임상적 임신율은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투여군에서 21.3%, 디드로게스테론 투여군에서 19.1%로 차이가 없었다 (p=0.92). 유산율은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투여군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34.5% vs. 11.1%, p=0.36). 결  론: 황체기 보강으로서 경구 디드로게스테론 투여법은 경구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투여에 비하여 비슷한 임신율과 유산율을 보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디드로게스테론 투여군의 수가 적어 좀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between oral micronized progesterone and dydrogesterone as a luteal phase support in stimulated 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cycle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in 183 IUI cycles during January 2007 to August 2009. Superovulation was achieved by using gonadotropins combined with or without clomiphene citrate. The luteal phase was supported by oral micronized progesterone 300 mg/day (n=136 cycles) or dydrogesterone 20 mg/day (n=47 cycles) from day of insemination.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of female, infertility factors, number of mature follicles (≥16 mm), total motile sperm counts, and endometrial thickness on triggering day between the two groups. The clinical pregnancy rates per cycle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21.3% in the micronized progesterone group vs. 19.1% in the dydrogesterone group, p=0.92). The clinical miscarriage rate tended to be 3-fold higher in the micronized progesterone group (34.5% vs. 11.1%, p=0.36).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oral dydrogesterone as a luteal support has similar clinical outcomes compared with oral micronized progesterone. Large-scaled randomized study would be required to confirm our findings.

키워드 : 황체기 보강, 미분화 프로게스테론, 디드로게스테론, 자궁강내인공수정, Luteal support, Micronized progesterone, Dydrogesterone, Intrauterine insemination

교신저자 : blasto@snubh.org
전문 파일 :
 

최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