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및 학회지

대한생식의학회지   제37권 제2호 2010년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자궁내막의 VEGF 발현 양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2,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3 , 서울의료원 산부인과학교실4

정창원1, 박인애2, 홍민아1, 이경훈4, 최영민1,3*, 구승엽1,3, 지병철1,3, 서창석1,3, 김석현1,3, 김정구1, 문신용1,3,

VEGF Expression Patterns in Eutopic Endometrium of Patients with Endometriosis

Chang Won Jeong1, In Ae Park2, Min A Hong1, Gyoung Hoon Lee4, Young Min Choi1,3*, Seung-Yup Ku1,3, Byung Chul Jee1,3, Chang Suk Suh1,3, Seok Hyun Kim1,3, Jung Gu Kim1, Shin Yong Moon1,3

Departments of 1Obstetrics and Gynecology, 2Path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3Institute of Reproductive Medicine and Popul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4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Seoul Medical Center, Seoul, Korea

목  적: 자궁내막증 환자군과 자궁내막증이 없는 대조군의 정상 자궁내막에서 생리주기에 따른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의 발현 양상과 양 군간의 차이를 살펴, 자궁내막의 VEGF와 자궁내막증 발병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환자군은 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3기 이상의 자궁내막증으로 조직학적 진단을 받고, 자궁내막의 조직학 주기가 확인 가능한 40세 이하의 환자 6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같은 시기에 자궁경부내 상피병변으로 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자궁내막증이나 자궁선근증이 없고 자궁내막의 주기가 확인 가능한 40세 이하의 환자 37명이었다. 환자군과 대조군의 정상 자궁내막에서 얻은 조직들을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반 정량적인 VEGF의 조직학적 점수를 산출하여 두 그룹간에 같은 월경주기 별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선세포와 기질세포로 나누어 같은 월경주기에 따라 자궁내막증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증식기와 분비기 모두에서 선세포 및 기질세포의 VEGF의 발현은 차이가 없었다. 각 세분된 월경주기 별 비교에서도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자궁내막증 환자군내에서는 선세포와 기질세포 모두 분비기에서 증식기보다 높은 VEGF 발현 양상을 보였다. 결  론: 자궁내막증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의 자궁내막에 있어서 VEGF 발현 양상은 차이가 없었다. 즉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내막에서 VEGF 발현이 정상인에 비해 증가되어 있지 않고 이는 자궁내막의 VEGF 발현은 자궁내막증의 병인생성에 관련이 없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patter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endometrium and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by investigating VEGF expression patterns and their difference between eutopic endometrium of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that of normal controls without endometriosis. Methods: Endometrial sections were obtained from 64 hysterectomy specimens from women under age of 40, who had undergone hysterectomies and had histological evidence of endometriosis, with stage 3 and 4 according to the revised Americ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classification. As for controls, 37 sections were gained from women diagnosed as having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of the uterine cervix and without evidence of pelvic endometriosis or adenomyosis during their operation. The VEGF content was evaluated immunohistochemically in the eutopic endometrium from 64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37 normal controls. Histological semiquantitative score (H-score) was calculated and compared between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 throughout the menstrual cycl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score of VEGF in the eutopic endometrium betwee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controls without endometriosis when compared according to the same phase of the cycle, although the H-score of the stud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cretory phase than the proliferative phase. Conclusion: The VEGF expression in the eutopic endometrium of women with endometriosis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women without endometriosis. This study suggests VEGF expression in eutopic endometrium is unlikely associ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키워드 : 자궁내막증, 혈관형성, 자궁내막, 면역조직세포화학 염색, VEGF, Endometriosis, Angiogenesis, Endometrium, Immunohistocytochemistry

교신저자 : ymchoi@snu.ac.kr
전문 파일 :
 

최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