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및 학회지

대한생식의학회지   제37권 제4호 2010년

난관 폐쇄에 기인한 불임 환자에서 난관 개통술의 효용성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 산부인과1, 영상의학과2

박찬우1·차선화1·양광문1·한애라1·유지희1·송인옥1·김혜옥1·강인수1·궁미경1·이경상2*,

Efficacy of Transcervical Fallopian Tube Catheterization in Infertility Patients with Fallopian Tube Occlusion

Chan Woo Park1, Sun Hwa Cha1, Kwang Moon Yang1, Ae Ra Han1, Ji Hee Yoo1, In Ok Song1, Hye OK Kim1, Inn Soo Kang1, Mi Kyoung Koong1, Kyung Sang Lee2*

Departments of 1Obstetrics & Gynecology, 2Radiology, Cheil General Hospital and Women's Healthcare Center, Kwando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목 적: 불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궁 난관 조영술을 이용한 난관 불임 선별검사에서 난관 막힘 의 소견을 보인 경우 선택적 난관 조영술을 시행 후 실패 시 난관 개통술을 시행하여 난관 불임치료에 있어 난관 개 통술의 효용성을 알아보고 난관 막힘 부위 및 형태에 따른 난관 개통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난관 불임 선별검사로서 자궁 난관 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자궁 난관 조영술 상 난관 막힘 소견을 보인 215명의 342개의 난관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 과: 난관 개통술을 시행하여 342개의 난관 가운데 248개의 난관이 개통되어 72.5%의 난관 개통률을 보였다. 막힘 부위에 따른 난관 개통률은 근위부 83.8% (197/235예), 협부 45.6% (47/103예), 원위부 100% (4/4예)를 보여 자궁- 난관 접합부에 가까운 막힘 일수록 높은 개통률을 보였다. 막힘 형태에 따른 개통률은 점진형은 92.3% (157/170예), 오목형은 80.2% (69/86예), 볼록형은 25.5% (22/86예)의 난관 개통률을 보였다. 난관 막힘 부위와 형태를 종합하여 볼 때 난관 근위부 점진형 막힘의 경우 91.6% (143/156예)의 높은 개통률을 보인 반면 난관 협부 볼록형 막힘의 경우에는 개통률이 11.3% (6/53예)에 불과하였다. 난관 개통에 성공한 156명 가운데 98명에서 임신에 성공하여 62.7%의 임신율을 보였다.
결 론: 난관 개통술은 자궁 경부를 통한 시술로 수술적 방법이나 체외수정시술의 난자 채취에 비해 덜 침습적인 방법으로 입원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불임의 원인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난관 원인 에 의한 불임 환자에서 우선적으로 시행해 볼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 할 수 있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and efficacy of trans-cervical fallopian tube catheterization (TFTC) in diagnosis and optimal treatment modality for tubal blockage.
Methods: The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those underwent TFTC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9. A total of 342 fallopian tubes in 215 patients which showed tubal blockage in hysterosalpingography (HSG), were subjected to TFTC. Recanalization rate (RR) was compared according to portion of tubal blockage; proximal, isthmic and distal portion and blockage type; tapering, concave, and convex type.
Results: In total, RR was 72.5% (248/342 tube). According to the portion of tubal blockage, RR was 83.8% in proximal, 45.6% in isthmic and 100% in distal portion. RR was 92.3% in tapering, 80.2% in concave and 25.5% in convex type, respectively. There were 98 pregnancies in 156 patients after successful recanalization, which shows 62.7% pregnancy rate.
Conclusion: TFTC were capable of recanalizing tubal blockage in 248 of 342 tubes in 156 of 215 patients (72.5%). The RR was increased with proximal portion and tapering type tubal blockage.

키워드 : Trans-cervical fallopian tube catheterization, Hysterosalpingography, 난관 개통술, 자궁 난관 조영술

교신저자 : kyungsang.lee@cgh.co.kr
전문 파일 :
 

최상단으로 이동